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50km 클래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50km 클래식 경기는 2018년 2월 24일에 진행되었다. 이보 니스카넨이 2시간 08분 22초 1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알렉산더 볼슈노프가 은메달, 안드레이 라르코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여자 스프린트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여자 스프린트에서는 스티나 닐손이 금메달, 마이켄 카스페르센 팔라가 은메달, 율리야 벨로루코바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총 68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예선부터 결승까지 경쟁을 펼쳤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여자 10km 프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여자 10km 프리 경기에서 90명의 선수들이 참가한 가운데 라그닐 하가(노르웨이)가 금메달, 샬로테 칼라(스웨덴)가 은메달, 마리트 뵈르겐(노르웨이)과 크리스타 파르마코스키(핀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이채원과 주혜리가 각각 51위와 79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크로스컨트리에 관한 - 1936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1936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는 1936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되었으며, 스웨덴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남자 18km는 에릭 아우구스트 라르손, 50km는 엘리스 비클룬드, 4 x 10km 계주는 핀란드 팀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크로스컨트리에 관한 - 1924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1924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는 프랑스 샤모니에서 남자 18km와 50km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노르웨이가 두 종목 모두 금메달을 획득, 토르레이프 하우그는 2관왕을 달성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2018년 동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총 22명으로 구성되어 쇼트트랙,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 피겨스케이팅 등의 종목에 참가했으며, 여자 아이스하키는 대한민국과 남북 단일팀으로 출전하여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으나 남북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2018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평창군
평창군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중남부에 위치하며, 84%가 산악 지형인 고랭지대로 밭농사와 고랭지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온난하계 습윤 기후를 보이며, 동계 올림픽 등 주요 국제 스포츠 대회를 개최한 곳이다.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50km 클래식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남자 50킬로미터 클래식 |
하계/동계 | 동계 |
대회 연도 | 2018 |
개최지 | 평창 |
개최 날짜 | 2월 24일 |
경기장 | 알펜시아 크로스컨트리 센터 |
참가 선수 | 69 |
참가 국가 | 31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이보 니스카넨 |
금메달 국가 | FIN (핀란드) |
은메달 | 알렉산더 볼슈노프 |
은메달 국가 | OAR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동메달 | 안드레이 라르코프 |
동메달 국가 | OAR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경기 결과 | |
우승 시간 | 2:08:22.1 |
우승 시간 설명 | 우승 시간 |
올림픽 역사 | |
이전 대회 | 2014 |
다음 대회 | 2022 |
기타 정보 | |
2. 올림픽 예선
이번 올림픽에는 총 310명의 선수가 11개 세부 종목에 출전한다. 출전 자격을 얻으려면 국제스키연맹(FIS) 포인트 100위 이내(A기준) 또는 300위 이내(B기준)에 들어야 한다. A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국가는 B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남녀 각 1명씩 출전 가능하다. FIS 포인트 순위는 2016년 7월 1일부터 2018년 1월 21일까지의 예선 기간 동안 선수들이 기록한 최고 성적의 평균으로 결정된다.[5]
모든 시각은 한국 시각 기준이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50km 클래식 경기는 2018년 2월 24일 오후 2시에 시작되었다.[4]
FIS 올림픽 포인트 순위 30위 이내에 든 국가는 추가 쿼터를 최대 2개(남녀별)까지 받을 수 있다. 300위 이내에 든 선수도 남녀 각 1명씩 추가 쿼터를 받을 수 있다. B기준 쿼터 배분 후 남는 쿼터는 올림픽 포인트 순위로 재분배된다. 한 국가는 한 경기에 최대 4명까지만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다.[5]
3. 경기 일정
날짜 시간 종목 2월 24일 14:00 결선
4. 경기 결과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순위 BIB 이름 국가 시간 차이 8 이보 니스카넨 핀란드 2:08:22.1 — 7 알렉산더 볼슈노프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2:08:40.8 +18.7 11 안드레이 라르코프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2:10:59.6 +2:37.5 4 2 알렉스 하비 캐나다 2:11:05.7 +2:43.6 5 4 마르틴 얀스루드 순뷔 노르웨이 2:11:05.8 +2:43.7 6 3 한스 크리스테르 홀룬 노르웨이 2:11:12.2 +2:50.1 7 15 다니엘 리카르드손 스웨덴 2:12:12.5 +3:50.4 8 22 마틴 야크스 체코 2:12:32.6 +4:10.5 9 1 다리오 콜로냐 스위스 2:12:43.2 +4:21.1 10 12 에밀 이베르센 노르웨이 2:12:59.0 +4:36.9 11 29 스콧 패터슨 미국 2:13:14.2 +4:52.1 12 6 알렉세이 체르보트킨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2:13:19.0 +4:56.9 13 21 니클라스 디르하우그 노르웨이 2:13:20.5 +4:58.4 14 28 안드레아스 카츠 독일 2:13:32.3 +5:10.2 15 5 알렉세이 폴토라닌 카자흐스탄 2:13:37.1 +5:15.0 16 27 지안도메니코 살바도리 이탈리아 2:13:45.4 +5:23.3 17 56 알고 캬르프 에스토니아 2:13:45.7 +5:23.6 18 9 장마르크 가이야르 프랑스 2:14:31.4 +6:09.3 19 37 마이콜 라스텔리 이탈리아 2:15:10.0 +6:47.9 20 16 데니스 스피초프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2:16:24.6 +8:02.5 21 26 디트마 노클러 이탈리아 2:16:29.2 +8:07.1 22 14 프란체스코 데 파비아니 이탈리아 2:17:14.3 +8:52.2 23 23 요시다 케이신 일본 2:17:21.9 +8:59.8 24 18 클레망 파리스 프랑스 2:17:25.4 +9:03.3 25 13 마티 헤이키넨 핀란드 2:17:34.8 +9:12.7 26 32 데본 커쇼 캐나다 2:17:49.4 +9:27.3 27 48 그라임 킬릭 캐나다 2:18:28.8 +10:06.7 28 25 옌스 부르만 스웨덴 2:18:34.5 +10:12.4 29 35 페르투 휘바리넨 핀란드 2:18:38.5 +10:16.4 30 19 토마스 빙 독일 2:18:41.1 +10:19.0 31 30 캉디드 프랄롱 스위스 2:18:41.5 +10:19.4 32 38 파울 콘스탄틴 페페네 루마니아 2:18:44.0 +10:21.9 33 42 노아 호프만 미국 2:19:04.1 +10:42.0 34 34 이리네우 에스테베 알티미라스 안도라 2:19:08.3 +10:46.2 35 51 이마놀 로호 스페인 2:19:10.1 +10:48.0 36 33 막스 하우케 오스트리아 2:20:39.9 +12:17.8 37 10 앤드루 머스그레이브 영국 2:20:57.9 +12:35.8 38 46 안드레아스 베르팔루 에스토니아 2:21:13.2 +12:51.1 39 40 예브게니 벨리치코 카자흐스탄 2:21:43.2 +13:21.1 40 36 빅토르 톤 스웨덴 2:21:53.8 +13:31.7 41 47 알레시 라짐 체코 2:22:06.8 +13:44.7 42 54 베른하르트 트리처 오스트리아 2:22:47.7 +14:25.6 43 24 리스토마티 하콜라 핀란드 2:22:50.1 +14:28.0 44 41 미하일 세메노프 벨라루스 2:22:51.2 +14:29.1 45 39 울리 슈나이더 스위스 2:23:17.3 +14:55.2 46 20 루카스 뵈글 독일 2:23:42.8 +15:20.7 47 58 김마그너스 대한민국 2:24:14.0 +15:51.9 48 57 타일러 콘필드 미국 2:24:36.5 +16:14.4 49 49 러셀 케네디 캐나다 2:25:16.6 +16:54.5 50 55 올렉시 크라소브스키 우크라이나 2:25:36.4 +17:14.3 51 60 페테르 믈리나르 슬로바키아 2:26:14.7 +17:52.6 52 45 비탈리 푸흐칼로 카자흐스탄 2:27:10.6 +18:48.5 53 64 안드레이 세게츠 슬로바키아 2:27:44.3 +19:22.2 54 66 칼럼 스미스 영국 2:27:56.3 +19:34.2 55 53 페트르 크노프 체코 2:29:20.9 +20:58.8 56 62 필립 벨링햄 오스트레일리아 2:30:39.7 +22:17.6 57 59 인둘리스 빅셰 라트비아 2:31:07.5 +22:45.4 58 63 칼럼 왓슨 오스트레일리아 2:33:28.6 +25:06.5 59 67 왕창 중국 2:34:43.0 +26:20.9 60 71 마틴 묄러 덴마크 2:36:10.8 +27:48.7 61 68 만타스 스트롤리아 리투아니아 LAP - 62 70 마크 찬롱 태국 LAP - 63 69 김은호 대한민국 LAP - DNF 31 요나스 도블러 독일 - - DNF 43 베셀린 친조프 불가리아 - - DNF 50 미로슬라프 리플 체코 - - DNF 65 미로슬라프 슐렉 슬로바키아 - - DNF 17 칼레 할프바르손 스웨덴 - - DNF 44 스노리 에이나르손 아이슬란드 - - DNS 52 데니스 볼로트카 카자흐스탄 - - DNS 61 토마스 찰마르 웨스트고르 아일랜드 - - 4. 1. 주요 선수 분석
선수 | 국가 | 경기력 및 전략 |
---|---|---|
이보 니스카넨 | 핀란드 | 금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경기력을 선보였다. |
알렉산더 볼슈노프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은메달을 획득, 이보 니스카넨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
안드레이 라르코프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동메달을 획득하며 3위를 기록했다. |
알렉스 하비 | 캐나다 | 4위를 기록했다. |
마르틴 얀스루드 순뷔 | 노르웨이 | 5위를 기록했다. |
한스 크리스테르 홀룬 | 노르웨이 | 6위를 기록했다. |
다니엘 리카르드손 | 스웨덴 | 7위를 기록했다. |
마틴 야크스 | 체코 | 8위를 기록했다. |
다리오 콜로냐 | 스위스 | 9위를 기록, 강력한 우승 후보였으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냈다. |
에밀 이베르센 | 노르웨이 | 10위를 기록했다. |
러시아 출신 선수(OAR)인 알렉산더 볼슈노프와 안드레이 라르코프는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러시아 도핑 스캔들로 인해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Olympic Athlete from Russia) 자격으로 경기에 참여해야 했다.[4]
4. 2. 대한민국 선수 경기 결과
대한민국은 김마그너스와 김은호 두 선수가 출전했다. 김마그너스는 2:24:14.0의 기록으로 47위를 차지했고, 김은호는 완주하지 못하고 63위를 기록했다.[4] 두 선수 모두 최선을 다해 경기에 임했다.순위 | BIB | 이름 | 국가 | 시간 | 차이 |
---|---|---|---|---|---|
47 | 58 | 김마그너스 | 2:24:14.0 | +15:51.9 | |
63 | 69 | 김은호 | LAP | - |
참조
[1]
웹사이트
Schedule
https://web.archive.[...]
2017-12-07
[2]
문서
Start list
http://data.fis-ski.[...]
[3]
웹사이트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Cross-country skiing
https://data.fis-ski[...]
International Ski Federation
2017-04-13
[4]
문서
Final results
http://data.fis-ski.[...]
[5]
웹인용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Cross-country skiing
https://data.fis-ski[...]
International Ski Federation
2017-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